-
12개월 전
AI 모델은 답변을 출력할 때 마크다운이라는 언어로 출력합니다. 웹페이지에 AI의 답변을 표시할 때 마크다운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출력하는데요.
위 사진 속 취소선은 마크다운 언어에서 ~~~(밑줄 3개 연속)으로 표현됩니다. 따라서 원래 AI모델의 답변은 '~~~하는 것이다', '~~~를 두려워하다'와 같았을 것인데, 프로그램이 마크다운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~~~이 취소선으로 되었을 겁니다.
이걸 방지하기 위해서 AI 모델이 ~(물결 하나만)을 출력했어야 하는 거죠. AI 모델도 이렇게 실수를 합니다. ㅎㅎ
-
11개월 전
아...전 또 AI가 답변중에 스스로 답변의 오류가 있다는 걸 자각하여 취소선을 그려놓았나 했네요 ㅋㅋ
-
-
8개월 전
앞뒤로 물결 하나씩만 있는 경우엔 그대로 물결(~)을 출력하고, 앞뒤로 물결 2개씩 있는 경우에 마크다운 문법대로 취소선이 출력되도록 업데이트했습니다. 이제 의도치 않은 취소선이 생기는 현상이 많이 줄어들 겁니다 🙂
-
8개월 전
엇.. 3개월전 글을 찾아서 댓글을 주셨네요 ㅋㅋ 어떻게 된 일 일까요 ㅋ.ㅋ
업데이트를 하셨군요.이젠 AI도 실수 하는 현상이 거의 없겠네요 ㅎㅎ 😉
-
-
1년 전
페이퍼 목록에서 '인출실패 많은순'으로 하면 너무 어려움 및 어려움을 많이 누른 페이퍼 순서로 정렬이 됩니다. 그 후 원하는 페이퍼들을 복수 선택하여 우측 상단의 초록색 버튼(선택한 페이퍼만 복습하는 기능)을 눌러 임의학습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.
-
1년 전
참고로 각 페이퍼 리스트의 우측에 빨간색 동그라미 숫자가 [너무 어려움] 혹은 [어려움]을 누른 누적 횟수입니다. 이 숫자가 1 이상인 것만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(복수 선택할 페이퍼가 많을 경우, 첫 번째 페이퍼 체크 후 키보드 Shift키를 누른 채로 마지막 페이퍼를 체크하면 중간의 페이퍼들이 모두 선택됩니다.)
-
시험공부의 본질은 개념 그 자체의 완전 암기가 아니라, “주어진 시간 안에 출제자가 낸 문제를 최대한 많이 맞히는 능력”을 기르는 데 있습니다.